— ‘감성’이란 말로는 부족한, 지금 이 세대의 공예 소비 심리 해석
1. 감성 콘텐츠? 그건 ‘정체성 소비’다
MZ세대, 특히 1995년 이후 출생층은 ‘소유’보다 ‘정체성 표현’을 더 중요시한다.
그들은 물건을 살 때조차 “내가 어떤 사람인지 보여주는 수단”으로 접근한다.
공예 콘텐츠 역시 마찬가지다. 단순히 예쁘고 아날로그적이어서 좋아하는 게 아니라,
**“이걸 좋아하는 내가 좋다”**는 심리에서 콘텐츠에 반응한다.
따라서 감성 공예 콘텐츠는
- 감성적인 영상미보다 정체성을 비추는 거울이 되어야 하고,
- 완성된 결과보다 **‘내가 만들고 싶어지는 과정’**을 보여줘야 하며,
- 장인의 숙련된 기술보다 실수와 망설임이 있는 인간적인 손길을 담아야 한다.
이 세대는 ‘공예를 보는 콘텐츠’를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,
‘공예를 통해 자기 자신을 확장하는 이야기’를 보고 싶어 한다.
2. 말이 아닌 분위기, 설명이 아닌 감정이 언어다
MZ세대는 ‘감성’이라는 말을 수천 번 봤다.
그들에게 감성은 단어가 아니라 **‘톤’**이고 **‘간접 감정’**이다.
따라서 전통 공예 콘텐츠도 말보다는 분위기, 설명보다는 정서를 전달해야 한다.
구체적 전략은 다음과 같다:
- 자막은 최소한의 단어로, 손글씨 느낌의 폰트 사용
- BGM은 따뜻한 노이즈, 로파이, 자연음 중심으로 구성
- 조명은 흰색보단 주황톤, 전체 샷보다 손 클로즈업 위주
- “공예는 이렇다”가 아니라 “이 날 나는 이걸 만들고 싶었다” 식의 1인칭 내면 서술
콘텐츠에서 MZ세대는 정보보다 ‘느낌’을 원한다.
기술을 알려주기보다, ‘이 작업을 할 때의 기분’을 보여줄 때 진짜 반응이 온다.
예:
- “옻칠이란 건 이러합니다” → ✕
- “처음 옻을 만질 때, 손끝이 약간 따가웠다. 이상하게 기분 좋은 통증이었다” → ⭕
3. 콘텐츠 포맷은 ‘보고 싶은 것’보다 ‘보여주고 싶은 것’으로
MZ세대는 유튜브, 인스타그램, 틱톡, 블로그를 단순히 ‘보는 플랫폼’이 아니라
**‘자신의 취향을 큐레이션하고 재가공하는 공간’**으로 여긴다.
따라서 공예 콘텐츠를 만들 때는 ‘시청자도 이걸 다시 공유하고 싶게 만들어야’ 한다.
이를 위한 포맷 전략:
- 3단 스토리 템플릿: “전 → 중 → 후”
(예: 어릴 적 할머니가 쓰던 자개함 → 비슷한 자개를 찾아 다닌 이야기 → 그걸 리폼한 후 조명의 빛에 담긴 순간) - 대체불가능한 감성 오브제 중심: “누구나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, 나만 아는 이야기”가 담긴 소재
- 정사각형/세로형 콘텐츠 병행 제작: 틱톡·릴스용 감성 컷 → 블로그/유튜브용 긴 호흡 콘텐츠
- 스크랩 유도 문구 삽입: “이건 언젠가 해보고 싶은 프로젝트라 저장해놔요” 같은 내레이션 한 마디
핵심은 ‘퍼가고 싶은 콘텐츠’다.
좋은 콘텐츠보다, 누군가에게 ‘자신의 감성을 증명할 수단’이 되는 콘텐츠가 훨씬 널리 퍼진다.
4. 감성은 개인화에서 끝나지 않는다 – 인터랙션 설계 전략
MZ세대는 일방적인 감상보다 상호작용을 통해 콘텐츠와 관계 맺는 구조에 반응한다.
즉, 공예 콘텐츠도 그들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는 여지를 줘야 한다.
콘텐츠 구조 안에 다음과 같은 인터랙션 장치를 넣는 것이 효과적이다:
- 댓글 유도형 질문: “이런 도안으로 머리핀을 만들면 어떨까요?”
- 공방 소품 네이밍 참여: “이 도자기 컵 이름을 정해주세요 – 가장 많이 추천받은 이름으로 판매할게요”
- 다음 영상 방향 투표: “다음엔 자개 브로치 vs 한지 테이블 중 뭐 해볼까요?”
- DIY 키트 피드백 기반 제작: “이 키트 써보신 분, 꼭 아쉬운 점 남겨주세요. 반영해서 다음 버전 제작 중입니다.”
MZ세대는 더 이상 ‘고객’이 아니라 브랜드와 공동창작하는 파트너다.
이들을 소비자가 아닌 동료로 대할 때, 콘텐츠는 단순히 감성적일 뿐만 아니라
강력한 팬덤 기반의 브랜드 자산으로 변한다.
'전통공예 복원 및 현대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통 공예 복원 프로젝트 참여 후기 (0) | 2025.04.14 |
---|---|
전통 공예와 해외 시장 – 한류 콘텐츠로 가능할까? (0) | 2025.04.13 |
공예 제품의 브랜드화와 마케팅 전략 (0) | 2025.04.13 |
전통 공예를 활용한 굿즈 상품화 아이디어 10가지 (0) | 2025.04.13 |
전통 공예 유튜브 채널 or 블로그 운영법 (0) | 2025.04.12 |
공예 수업 & 체험 공간 기획 방법 (0) | 2025.04.12 |
1인 공방 창업 가이드 – 전통 공예로 수익 내는 법 (1) | 2025.04.11 |
전통 공예 배우기: 요즘 어디서 배울 수 있을까? (0) | 2025.04.11 |